메뉴

교통
HOME  > 뉴스종합 > 교통

수도권→서울 출근 평균 71분... 경기도민 17% 서울 출근

컨텐츠 정보

본문


20240528_151159.png

 

 

경기→경기 358만명(81%)

경기→서울   76만명(17%)

경기→인천     7만명(2%)


서울→서울 290만명(89%)

서울→경기   33만명(10%)

서울→인천     3만명(1%)

 


경기·인천 등 수도권에서 서울로 출근하는 시민들은 평균 71분이 소요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수도권 이동은 평일 기준 7135만건 발생했고 이중 절반 이상이 경기도에서 발생했다.


출근·병원·쇼핑 등 일상생활을 위한 평균 이동시간은 서울에서는 37분, 경기와 인천에서는 각 40분, 41분 내외가 소요됐다.


서울시는 방대한 통신·공공·빅데이터를 융합해 수도권 거주자의 모든 이동을 20분 단위로 집계·분석할 수 있는 '수도권 생활이동 데이터'를 개발했다고 28일 밝혔다. 이는 서울시와 인천시, 경기도, 통계청, KT, 수도권 3개 연구원의 기술·인프라 협력을 통해 탄생한 결과물이다.


이번에 분석된 데이터에 따르면 서울·경기·인천이 출발·도착지가 되는 수도권 이동은 하루 평균 7135만건(평일 기준) 발생했다. 경기도가 출발·도착지가 되는 이동이 3620만건으로 51%를 차지했고, 서울 2730만건(38%), 인천 730만건(10%), 기타 55만건(1%) 순이었다.


수도권에서 서울로 출근하는 경우에는 평균 71분이 걸렸다. 서울에서 수도권으로 출근하는 시간(59.4분)보다 약 1.2배 긴 시간이 소요되는 셈이다. 서울 내 출근 시간(35.3분)에 비해서는 2배 가량 많이 걸렸다.


인천에서 서울로 출근할 때에는 평균 76.5분으로 가장 길었고, '경기→서울' 65.4분, '서울→인천' 64.3분, '서울→경기' 54.4분 순이었다. 같은 지역 안에서 출근할 때 걸리는 시간은 서울 35.3분, 경기 27.6분, 인천 25.9분이었다.


서울에서 출발하는 출근 인구수 326만511명 중 오전 7~9시의 이동 현황을 살펴보면 290만명(89%)이 서울 안에서 출근했고 33만명(10%)은 경기도로 나머지 3만명(1%)은 인천으로 출근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경기도에서는 경기도 내로 출근하는 인구가 358만명(81%)에 달했고, 서울 76만명(17%), 인천 7만명(2%)으로 출근했다. 인천에서는 70만명(77%)이 지역 내로 출근했고 경기와 서울로 출근하는 인구는 11만명(12%), 10만명(11%)으로 집계됐다.


목적별 이동 평균 시간과 거리를 분석한 결과 서울은 평균 37분 내, 반경 6㎞내 생활권이 형성된 도시였다. 경기도는 40분, 인천은 41분 도시로 반경 9㎞ 내 생활권이 형성돼 있었다. 서울시민의 경우 출근 42분, 등교 35분, 귀가 45분, 쇼핑 38분, 병원 40분, 관광 25분, 기타 44분이 평균적으로 소요됐다.


이번 데이터는 출퇴근·등하교 등 정기적인 이동뿐 아니라 쇼핑, 관광, 병원 방문 등 행정수요를 유발하는 모든 이동을 포함하고 있다. 서울과 수도권은 물론 전국에서 오가는 모든 이동 인구가 대상이다.


현재 인구 이동과 관련한 통계청의 '인구주택총조사'와 국토교통부의 '대중교통 현황조사' 등은 시·군·구 등 광범위한 공간을 대상으로 1~5년 간격으로 발표한다.


이와 달리 수도권 생활이동 데이터는 대중교통 이용 인구 등 공공 빅데이터와 KT의 휴대전화 'LTE+5G 시그널' 데이터를 수도권 4만1000여 개(가로·세로 250m 격자모양) 구역에 반영해 추계하는 방식으로 산출되는 만큼 시공간 단위의 훨씬 세밀한 분석이 가능하다.


서울·경기·인천 시도 내는 물론 시도 간 모든 이동에 대해 누가, 언제, 어디서, 어디로, 어떻게, 왜 이동했는지를 자세하게 보여준다. 교통카드 데이터만으로는 도보나 자전거, 택시 이용 등을 파악하는 데에 한계가 있었지만, 이번 데이터를 통해 대중교통 이용 전후 이동까지 분석할 수 있다.


시는 데이터를 광역도시계획, 신도시 수요예측 등 도시 개발과 교통인프라·버스노선 정책 등에 적극 활용 계획이다. 행정·생활시설 재배치, 상권 활성화 등에도 적용해 '직·주·락(職·住·樂)' 도시 실현도 앞당긴다는 계획이다.


이번 데이터에서 단순히 '행정 경계'가 아닌 본인의 현 위치와 가까운 '거리'를 기준으로 이동하는 경향이 나타난 만큼 이를 권역별 생활권 정책 수립에 적용할 계획이다.


예컨대 서울 양천.구로와 경기 부천·광명, 인천 계양·부평 등은 서울 '서남권역'으로, 서울 강동·송파, 경기 성남·하남·광주는 '동남권역'으로 묶이는 등 총 7개의 생활권을 형성했다. 1기·2기 신도시 거주자들의 이동패턴 분석에서도 현 위치에서 가장 가까운 자치구로의 이동이 많았다. 하남 교산, 고양 창릉 등 3기 신도시도 유사한 이동 패턴이 나타날 전망이다.


생활권 내 병원과 학교, 쇼핑몰 등 생활 인프라를 재배치하고, 교통시설 재정비, 거점별 행정수요 집중·분산 등에 나선다면 사회적 비용을 절감하고 균형발전을 촉진시킬 수 있을 것이라는 기대다.


교통수요 예측 시나리오에도 반영할 예정이다. 특정 목적지로 가는 출근 인원을 세밀하게 산출해 버스노선 확충·조정에 활용할 수 있다. 병원, 쇼핑센터, 학교 등 공공시설 입지선정 등에도 활용 가능하다.


시는 경기도, 인천시와 각 연구원, 대학들과 협업해 시민의 삶을 개선할 수 있는 정책을 지속 발굴할 계획이다.


데이터는 '서울시 열린데이터광장(행정동·1시간 단위)'에 공개된다. 일단위로 업데이트돼 시민, 학생, 기업 등 누구나 자유롭게 활용할 수 있다. 오프라인인 서울시 빅데이터캠퍼스에서는 세분화된 형태(20분 단위)의 실시간 집계 데이터도 개방된다.

 

#수도권 #서울 #인천 #경기 #출근 #평균 #시간 #소요 #대중교통 #지하철 #버스 #자동차

관련자료

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전체 9,956 / 122 페이지


인기 기사


사람들


주말N


최근기사


중부데일리TV


포토


기고/칼럼


기자수첩


만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