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경제
HOME  > 뉴스종합 > 경제

김포시, 김포 자광미 복원

컨텐츠 정보

본문



2 자광미 모내기.jpg

김포시가 특별한 효능을 갖춘 김포 ‘자광미’를 복원한다. 


300년 전부터 김포에서 재배되어 온 ‘자광미’는 소화기를 튼튼하게 하고 눈을 밝게 하며 어지럼증과 요통, 팔다리 무력감, 목이 붓고 아픈 증상, 입안이 허는 증상, 안진환 등 효과(본초강목, 1596, 이시진)가 있는 것으로 알려진 특별한 쌀이다. 


시가 주목한 자광미는 300여년전 중국에 갔던 사신이 밥맛이 좋다는 볍씨를 가져와 당시 통진현 ‘밀다리’(현재 김포시 통진읍 동을산리)에서 심은 것으로 유래돼 ‘밀달쌀’이라 불렸다. 이후 임금께 진상돼 올리니 엷은 자색을 띈다해 ‘자광벼’라는 이름을 내리신 것으로 알려져 있다. 1682년 출간된 ‘산림경제’에 자광벼에 대한 언급이 있는 것으로 미루어 350년 이상 김포에서 재배됐을 것으로 추정된다. 


김포시농업기술센터와 김포문화재단은 자광미 종자를 찾아 재배부터 활용까지 모든 과정을 시민과 함께 하는 문화로 연계해 장기 프로젝트로 구성했다.  


쌀 복원에 있어 문화적 맥락에서 접근하는 방식과 시민 소통으로 정체성을 담아 새로운 농업문화의 방향을 제시하는 한편 가공식품을 통한 확장 가능성에도 긍정적이다.  


엄은경 요리연구가(외식경영학 박사)는 “350년 이상의 재배 역사를 지닌 ‘자광벼’는 연한 자색의 김포 토종 종자로서 임금께 진상될 만큼 그 맛과 영양이 뛰어나다. 소화기를 건강하게 하고 항노화, 항암에도 탁월한 효과가 있는 자광벼의 복원은 김포 농업의 활성화와 함께 김포의 정체성을 정립하는데에 매우 큰 의미가 있다”며 “2차, 3차 가공을 통해 자광벼 섭취의 용이성과 현대인들의 기호성을 고려해 개발된 상품들은 김포쌀의 우수성을 알리고 새로운 김포쌀에 대한 매우 긍정적인 미래를 기대해 볼 수 있다”고 평가했다. 


시는 자광미 복원을 시작으로 문화적 관점으로 시민과 함께 현 시대의 흐름에 맞는 김포농업의 새로운 방향을 지속적으로 찾아나아갈 예정이다. 그 첫 걸음으로 시는 지난 8일 월곶면 개곡리에 위치한 밀다리마을박물관을 거점으로 지난 8일 ‘밀다리쌀’ 모내기를 시작했다. 


김포시농업기술센터는 자광미의 종자를 확보하고 김포문화재단에서 함께 할 시민을 모집해 40여명의 시민이 함께 자광미 모내기에 나서는 등 협업으로 첫 발을 내딛었다. 


이날 모내기는 50평 가량은 자광미로, 잔여지에는 돼지찰벼를 비롯해 우리나라에서 자라는 다양한 토종벼 8종과 추청벼 등 총 12종의 벼를 심었다. 


모내기에 함께 한 시민들은 한 줄로 서서 모내기를 했고 앞으로 진행될 프로그램에 대한 기대감을 높이며 “정말 오랜만에 보는 장면이다. 이 사람들이면 5천평도 할 수 있”고 모내기에 대한 추억을 나눴다. 


참가한 시민들은 앞으로 ‘밀다리쌀을 키워라’ 프로젝트의 연구원이 돼 수확이 이뤄지는 11월까지 올해 매월 1차례 이상 논을 함께 관리하며 재배하는 것은 물론 논 생물 관찰, 피사리 활동, 허수아비 만들기, 수확과 탈곡 등 밀다리쌀 재배와 관련된 생태 및 예술 활동을 전개해 나갈 예정이다. 


또한 매월 밀다리쌀이 커가는 과정을 관찰하고 기록하는 관찰일지를 작성, 활동 기록을 모아 추수가 끝난 후 공유회와 전시를 개최할 예정이다. 


김병수 시장은 “자광미 복원은 김포농업의 또 다른 가능성을 포괄하는 것으로 김포농업이 미래로 나아갈 수 있는 새로운 전환점이 될 수도 있다. 민선8기 김포시가 추진 중인 김포의 정체성 찾기는 김포의 또 다른 도약의 계기로 작용할 것”이라고 말했다. 


관련자료

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경제 697 / 6 페이지


인기 기사


사람들


주말N


최근기사


중부데일리TV


포토


기고/칼럼


기자수첩


만평